본문 바로가기
재테크와 금융

청약통장 소득공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 계산법 딱 정리해드립니다

by ☢☢☢ 2025. 4. 15.
반응형

청약통장은 단순히 분양 기회를 위한 통장일 뿐 아니라 절세 효과까지 누릴 수 있는 재테크 수단이기도 합니다.

특히 무주택 세대주(또는 배우자 포함)라면, 주택청약 납입금액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?
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바뀐 청약통장 소득공제 한도와 실제 세금 환급액 계산 방법을 쉽게 설명해드립니다.

소득공제 적용 대상 요약

  • 🧾 대상: 무주택 세대주 또는 그 배우자 (2025년부터 확대)
  • 💰 소득 요건: 연봉 7,000만 원 이하 (근로소득 기준)
  • 📅 납입 요건: 주택청약종합저축에 월 납입 (최대 25만 원)

위 요건을 만족하면, 연간 최대 300만 원까지 납입 금액의 40%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.

2025년 기준 공제 한도 변화

  • 📉 2024년까지: 연 240만 원 × 40% = 최대 공제액 96만 원
  • 📈 2025년부터: 연 300만 원 × 40% = 최대 공제액 120만 원

실전 계산 예시

월 납입액 연 납입액 공제율 공제액
10만 원 120만 원 40% 48만 원
15만 원 180만 원 40% 72만 원
25만 원 300만 원 40% 120만 원

소득공제와 세금환급액은 다릅니다!

소득공제는 세율을 곱한 만큼의 세금이 줄어드는 구조입니다.
즉, 공제액 120만 원을 세율 15%로 계산하면 실제 환급은 약 18만 원이 되는 셈입니다.

  • 💸 예: 공제 120만 원 × 세율 15% = 세금 환급 약 18만 원
  • 💸 세율 24%라면 약 28만 8천 원 환급

주의할 점

  • 📅 연말정산 시 해당 항목으로 직접 신고 필요 (주택마련저축 항목)
  • 📄 은행에서 ‘청약저축 납입 증명서’ 발급 가능
  • 🔐 공제는 납입자 본인 명의만 가능 (배우자 납입은 배우자 명의 공제)

결론: 소득공제도 ‘전략’이 필요합니다

  • 월 25만 원 납입: 공제 최대치 활용 + 국민주택 청약 경쟁력 강화
  • 월 10~15만 원 납입: 무리 없는 수준에서 절세 효과 확보
  • 연봉 7천 초과자: 소득공제 대상 아님 → 순수 청약 목적으로 접근

단순히 청약만을 위한 통장이 아니라, 소득공제를 활용해 실질 환급 효과까지 노릴 수 있다면 주택청약통장은 강력한 절세 재테크 수단이 됩니다.

지금 납입금액과 소득 조건을 점검해보시고, 올해 연말정산부터 전략적으로 준비해보세요.

반응형